광주광역시 '디지털광주문화대전' 서비스 오픈… 지역학 자료 집대성

한국학중앙연구원·광주광역시청이 매칭펀드 15억 국책사업으로 추진

조영자 | 입력 : 2023/09/01 [09:29]


한국학중앙연구원(원장 안병우)은 광주광역시(시장 강기정)와 ‘디지털광주문화대전'의 편찬을 완료하고 공식 홈페이지를 오픈한다고 1일 밝혔다.

 

디지털광주문화대전은 2019년 7월부터 편찬 작업이 시작됐으며,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104번째로 선보이는‘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'이다.

 

디지털광주문화대전은 지리, 역사, 문화유산, 성씨·인물, 정치·경제·사회, 문화·교육, 생활·민속, 구비전승·언어·문학 등 총 9개 분야로 구성되어 있다.

 

특히 5,300여 개의 표제어를 중심으로 약 65,377매(200자 원고지 기준) 분량의 텍스트와 총 10,625건의 사진, 50편의 동영상을 디지털 형태로 수록해 인터넷과 모바일을 통해 누구나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.

 

‘고대 문화를 꽃피운 신창동유적', ‘5.18 민주화운동의 아픔을 함께하는 남동성당'과 같은 역사적 주제부터 ‘광주를 품은 무등산', ‘사라졌다 되찾은 칠석 고싸움' 등 광주광역시를 대표하는 76가지의 이야기도 기획항목으로 구성했다.

 

편찬 작업에는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과 총 130여 명의 집필자를 비롯하여 광주광역시 소재 사진·동영상 제작 전문 업체 등이 참여했다.

 

디지털광주문화대전은 인터넷 누리집(http://gwangju.grandculture.net)에 접속해 이용할 수 있으며, 네이버·다음과 같은 포털사이트를 통해 들어갈 수 도 있다.

 

안병우 한국학중앙연구원장은 "디지털광주문화대전이 지역의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함과 동시에 지역문화를 기반으로 한 문화콘텐츠 산업 발전을 촉진시켜 균형있는 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.”고 말했다.

 

한편,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은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<신증동국여지승람>(1530년)의 맥을 이어 추진하고 있는 지역문화 편찬 사업으로 전국 230개 시·군·구 지역의 다양한 향토 문화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해 디지털화하는 지역 백과사전이다.

 

[나눔일보 = 조영자 선임기자]

주변의 따뜻한 이야기를 많은 이들에게 전하고 싶거나, 본인의 선행을 알려 뜻을 함께 할 분들을 널리 구한다면 언제든지 press@nanumilbo.com으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. 선행을 증빙할 사진이나 자료가 첨부되면 더 좋습니다. 자료는 특별히 정해진 형식이 없습니다. 문장력에 대한 부담은 갖지 않으셔도 됩니다. 저희 데스크의 수정보완을 거쳐 기사로 나갑니다. 본사의 추가 취재에 응할 수 있는 연락 전화번호는 꼭 필요합니다. 자료 검토 또는 추가 취재 결과, 보도에 부적합하다는 판단이 내려지면 보도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.

< 기사제보·독자투고, 취재요청 및 보도자료 > press@nanumilbo.com
  • 도배방지 이미지

1/8
̽ īī丮 νŸ׷